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문화 진흥예술법 시행령에 따른 변화

by 지울 마마 2023. 10. 12.
반응형

1. 의결주문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별지와 같이 의결한다.

 

2. 제안이유 문화적ㆍ예술적ㆍ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ㆍ이용하기 위하여 문화예술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된다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인정하는 시설을 문화시설로 추가하고, 위탁관리할 수 있는 자의 자격요건과 수탁기관 및 위탁업무의 내용을 고시 등을 통하여 규정하려는 것임 3. 주요내용 가.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된다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인정 하는 시설을 문화시설의 종류에 추가(안 제2조제1항제3호) 나. 중앙행정기관의 장 등은 고시로 정한 세부기준 등에 따라 자격요건을 갖춘 자를 지정하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인정하는 시설의 관리를 위탁관리할 수 있도록 규정(안 제3조의2제1항) 다. 중앙행정기관의 장 등은 문화시설의 관리를 위탁하는 경우 수탁기관 및 위탁업무의 내용을 고시(안 제3조의2제2항) 4. 주요토의과제 없 음 - 1 - 5. 참고사항 가. 관계법령 : 생 략 나. 예산조치 : 별도조치 필요 없음 다. 합 의 : 해당사항 없음 라. 기 타 : 1) 신ㆍ구조문대비표, 별첨 2) 입법예고(2013. 9. 25. ~ 10. 6.) 예정 3) 행정규제 관련 규제개혁위원회와 협의 예정

 

변경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 내용은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개정안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2조 제1항에 제3호 신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시설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합니다. 이것은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을 인정하는 규정입니다.

제3조의2 신설 (문화시설의 관리위탁):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관리를 위탁받기 위한 요건과 절차를 규정합니다. 이로써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는 문화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해 비영리법인 등을 선정하여 관리를 위탁할 수 있게 됩니다. 관리 위탁 시 수탁기관과 위탁업무의 내용을 고시해야 합니다.

이 개정안은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이 예상된다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승인되면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예상됩니다:

시설 지정 기준의 추가: 새롭게 제3호가 제2조 제1항에 추가됩니다. 이것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문화예술 활동에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시설을 더 쉽게 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로써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시설에 대한 인식이 확대됩니다.

문화시설의 관리위탁 규정: 제3조의2가 신설되어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문화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비영리법인 등을 선정하여 관리를 위탁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문화시설의 유지와 보존에 관한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탁기관 및 위탁업무의 내용 고시 의무: 개정안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관리를 위탁받는 경우 수탁기관과 위탁업무의 내용을 고시해야 합니다. 이는 위탁 관계와 작업 내용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 개정안은 문화시설 관리와 문화예술 활동 지원에 대한 규정을 확장하고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반응형